9개 마을, 106명 수몰민의 기억과 삶을 복원한 주민생활사 집대성

안동시와 ()경북기록문화연구원(이사장 유경상)20192차년도 안동댐 수몰마을 기록화사업추진 과정에서 획득한 결과물로 9개 마을 수몰주민 106명의 구술채록집 안동댐 수몰마을 주민대백과를 발간했다.

올해로 3차년도를 맞이한 안동댐 수몰마을 기록화사업은 댐 건설로 인해 사라진 수몰마을과 그곳에 살았던 수몰민의 삶을 발굴하고 기록하는 작업으로 2018년 발간한 사라진 마을 그리운 얼굴에 이은 두 번째 기록지로, 안동시 와룡면 가류리·도곡리·절강리, 예안리 기사리·미질리 등 9개 마을 106인 수몰민의 주민생활사를 담아냈다.

1976년 준공된 안동댐은 지역 사회 전반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식수난 해결, 댐주변 지역 환경정비와 더불어 문화 관광, 레저 산업의 발달 등으로 관광객이 증가해 물을 매개로 한 물산업의 중심지로 떠올랐다. 그러나 댐 건설과 함께 자연환경의 변화, 일부 문화재와 가옥들의 이건, 실향민 발생 및 그들의 기록과 이야기가 수몰과 함께 묻히고 말았다.

당시 안동시와 안동군 와룡면, 예안면, 도산면 일대 54개 마을은 댐 건설을 앞두고 보존, 기록 작업이 제대로 선행되지 못했다. 댐이 준공된 지 4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일부 마을에 대한 단편적인 자료나 학술연구 차원의 보고서와 마을지가 발간된 것을 제외하면 수몰마을의 흔적과 수몰민들의 이야기를 제대로 담아낸 자료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더구나 수몰마을 구성원 1세대들이 대부분 사망하거나 남아있는 이들도 고령화로 인하여 그들의 기억과 삶의 이야기들이 점차 사라져가고 있어 이번 106인의 구술기록은 더욱 큰 의미를 갖는다.

374쪽 분량의 안동댐 수몰마을 주민대백과에는 수몰이 되는 시점의 기억과 풋구 먹고 지신 밟고 동제 지내고 화전놀이하던 기억, 자녀들 출가 시키고 부모님 떠나보내고 이제는 등 굽은 노인이 된 수몰민들의 삶의 애환을 담아냈다.

저작권자 © 안동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