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

안동 애련암 아미타삼존도

경북도는 지난 11일 도문화재위원회를 개최하고 안동 애련암 아미타삼존도을 비롯한 8건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문경 김용사 양진암 영산회상도2건을 문화재자료로 지정키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유형문화재로 지정 결정한 8건은 안동 애련암 아미타삼존도 안동 애련암 신중도 김천 조창현 소장 전적 노상추일기와 간찰첩 문경 대승사 윤필암 신중도 문경 김용사 양진암 신중도 문경 관음리 석조반가사유상 예천 남악종가 소장 전적이다.

문화재자료로 지정 결정한 2건은 문경 김용사 양진암 영산회상도 문경 반곡리 마애여래좌상이다.

유형문화재로 지정 결정된 안동 애련암(안동시 서후면 재품천주길)아미타삼존도는 화면 중앙에 아미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시립(侍立)한 아미타삼존설법상이다.

최상단 좌우에 각 5위씩 합장을 한 10위의 타방불이 연화대좌에 앉아 있다. 화면은 적, , 청색을 주로 사용하여 채색하였다. 화면 하단부의 화기(畵記)를 통해, 1780년이라는 조성연대와 함께 18세기 후반을 대표하는 불화승들이 불화 제작에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려 말조선 전기의 아미타삼존설법도 형식을 계승하고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안동 애련암 신중도는 가로로 긴 장방형의 화면에 존상들이 일렬로 늘어선 구도이다. 제석천과 범천을 중심으로 위태천을 왼쪽에 그려 넣었다. 전체적인 구도는 제석과 범천이 천자와 천녀의 위호(衛護)를 받으며 중앙으로 이동하고 나머지 권속들이 제석과 범천을 뒤따르는 형상이다.

이 신중도는 기존의 정형화된 구도에서 벗어난 점이 돋보이며, 채색도 붉은색과 녹색, 청색, 황색 등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다. 화면 하단부의 화기(畵記)를 통해, 1780년이라는 조성연대와 함께 18세기 후반을 대표하는 불화승들이 불화 제작에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화면의 독특한 구성과 인물의 섬세한 표현, 조화로운 채색을 갖춘 우수한 작품이다.

 

저작권자 © 안동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